요즘 개신교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부패와 비리, 특히 다락방 사건 같은 것들은 단순히 몇몇 목사들의 문제로만 볼 수 없어요. 많은 개신교 단체는 이런 문제가 생길 때마다 책임을 그 목사에게만 돌리고, 조직의 근본적인 문제는 무시하려는 경향이 있어요. 그래서 "개신교는 사이비"라는 비판이 나오는 거죠.
책임 전가의 방식 종교에서 부패가 드러날 때마다 자주 반복되는 방식은 이렇습니다:
개인화된 책임: 문제가 생기면 목사나 전도사 한두 명을 비난하고, 그들을 "개인의 문제"로 몰아갑니다.
조직의 분리 선언: "우리 교단과는 상관없다"며 조직의 문제는 무시합니다.
희생양 전략: 특정 목사만 제거하고 나머지 시스템은 그대로 두면서 책임을 회피하려고 합니다.
이런 방식은 구조적인 문제를 숨기고, 책임을 줄이려는 데만 집중하고 있어요. 그래서 문제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개신교가 부패했다"는 비판이 더 커지게 됩니다.
문제의 본질은 어디에 있을까? 다락방 사건을 통해 드러난 문제는 단순히 몇몇 목사들의 타락이 아니에요. 개신교 조직 전반에 깔린 몇 가지 구조적 문제가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습니다.
권위주의와 신격화: 목사를 "하나님의 대리자"로 신격화하면서 내부 비판을 막는 구조가 생겼어요. 이러면 목사의 부패를 문제 삼기 어려워집니다.
투명성의 부재: 재정 관리나 의사 결정 과정에서 투명성이 부족해요. 헌금 사용 내역조차 신도들에게 제대로 보고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교 비즈니스화: 신앙보다 숫자, 헌금, 건물 확장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어요. 이는 특정 목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방향이 왜곡된 결과입니다.
개신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 단순히 몇몇 목사를 비난하거나 내치는 방식으로는 개신교에 대한 사이비 비판을 피할 수 없어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필요합니다.
구조적 개혁: 문제를 특정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지 말고,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불투명한 운영 방식을 바꿔야 해요. 민주적인 운영 구조를 도입하고, 외부의 감시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신도 교육 강화: 신도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성경에 기반한 윤리적 판단을 가르쳐야 해요. 목사의 말에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신앙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교적 권위 해체: 목사를 신격화하거나 절대적인 권위를 주는 구조는 없어져야 해요. 목사는 신도들과 같은 "종교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해야 하고, 그의 행동도 평등하게 평가받아야 합니다.
개신교에 던지는 질문 개신교는 "사이비"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책임을 몇몇 목사에게 전가하는 방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요. 오히려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야 합니다:
우리 조직이 진짜로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되고 있는가?
목사들에게 비판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 있는가?
신앙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권력 남용과 비리를 막을 시스템이 있는가?
일부 교회의 목사라도 결국 교단의 소속이기 때문에 교단 전체가 책임지는가?
이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면, 개신교는 "사이비"라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어요.
특히 개신교의 경우, 교회가 망하거나 사건 사고가 생기면 해당 교회의 문밖을 벗어나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거나 보상을 해주지 않는 현실이 걱정됩니다. 가톨릭은 교황이라는 중심이 있어서 여론을 위한 사과를 하지만, 개신교는 그런 게 전혀 없어요. "그 목사 책임이다"라고 말할 뿐, 사과나 신자 감싸기 같은 건 하지 않죠. 그래서 비종교인들은 개신교의 목사가 타락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가지고 비판적으로 교회를 바라보게 됩니다.
종교는 희망과 도덕성을 상징해야 해요. 하지만 책임 전가와 문제 회피로 일관한다면, 개신교는 신도와 대중에게 신뢰를 잃고, 스스로를 사이비로 몰아가는 길을 걷게 될 것입니다. 지금이야말로 개신교가 진정한 자성과 개혁의 길로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우리는 모두 비판적 시각을 유지하며, 건강한 종교 공동체를 위해 목소리를 높여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