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개신교의 문제: 예장과 감리회의 범죄 이야기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와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회)라는 한국의 큰 교단들이 성범죄와 부패로 인해 신앙의 이름을 많이 망치고 있어요. 이 교단들은 원래 신앙과 도덕의 중심이 되어야 하는데, 지도자들이 범죄를 저지르고 책임을 회피하면서 범죄의 온상이라는 나쁜 이미지가 생겼어요.
끊이지 않는 범죄, 무너진 신뢰
최근 기독교대한감리회에서는 한 담임목사가 여성 신도 24명을 대상으로 그루밍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의혹이 나왔어요. 피해자 중에는 미성년자도 있었고, 계속된 성범죄로 정신과 치료를 받는 사람들도 많아졌어요. 피해자들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라는 말로 속아서 범죄를 당했고, 그 중 일부는 스트레스로 인해 유산까지 겪은 경우도 있었어요.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는 성폭력 사건이 이단 단체보다도 더 많이 발생하고 있고, 가해자의 70% 이상이 담임목사, 부목사, 교사 같은 교회 내 지도자들이에요. 특히, 예장 합동 교단은 성폭력 사건이 가장 많이 일어나고 있으며, 피해자는 보호받지 못하고 가해자는 제대로 된 징계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교단 내부의 구조적 부패
기독교대한감리회의 김모 목사는 2021년에 담임목사직에서 해임되었지만, 교단 차원에서 추가적인 징계는 없었어요. 그 후에도 그는 다른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계속했어요. 이는 교단이 성범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가해자가 계속 활동할 수 있도록 묵인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요.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는 성폭력 사건 47건 중 단 11건만 유죄 판결을 받았고, 나머지는 재판 중이거나 불기소, 기소 유예로 처리되었어요. 교회 내부에서 징계를 요구한 사건조차 가해자가 자진 사임하거나 징계 없이 넘어간 경우가 많아요. 이런 결과는 교단 내부의 책임 회피와 비공식적인 문화가 문제를 재발하게 하고 있다는 걸 보여줘요. 피해자들은 두려움과 불신 속에서 침묵을 강요당하고, 가해자들은 권위를 이용해 범죄를 계속할 수 있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어요.
이단보다 못한 교단들, 청산이 필요해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에 나오는 이단 단체들보다 더 심각한 범죄가 정통 교단으로 알려진 예장과 감리회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건 정말 충격적이에요. 이단 단체들은 그들의 이상한 교리로 비판받지만, 적어도 그들의 행동은 대형 개신교에서만 비판의 대상이 돼요. 반면, 예장과 감리회 같은 교단은 언론과 자본을 통해 내부 범죄를 숨기고 사회적 피해를 계속 일으키고 있어요.
더 심각한 문제는 이들 교단이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사건을 덮고 가해자를 다른 교회로 옮기는 방식으로 문제를 숨기고 있다는 거예요. 이런 방식은 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새로운 피해자를 만들어내고, 교단 자체를 더 깊은 부패로 이끌고 있어요.
교회의 미래는 없다, 부패를 잘라내야 해
이제 이들 교단은 스스로 변화를 시도하거나 신뢰를 회복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요. 부패가 깊이 박힌 구조는 이미 신앙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잃었고, 새로운 시작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에요. 신앙이라는 이름 아래 범죄를 묵인하고, 권위를 남용하며, 피해자를 침묵하게 만드는 구조는 즉각적으로 청산되어야 해요.
대한예수교장로회와 기독교대한감리회는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어요. 신앙의 본질과 사랑, 정의를 되찾기 위해서는 이 부패한 구조를 단호히 잘라내야 해요.